'겨울철운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12.04 빙판길운전요령 눈길 안전운전 알아두세요

오늘 올해들어 두번째 눈이 왔는데 도로에서 차들이 정체될만큼 눈이 쏟아졌습니다.

모두가 오늘의 날씨에 주목하며 퇴근길대란을 염려할만큼 많은 눈이 내렸는데요 이눈이 내일 오전까지 계속된다는 소식에 내일 아침 빙판길 운전할일이 더욱 걱정이 되실거에요.

그래서 오늘은 빙판길운전요령, 겨울철 눈길 안전운전요령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빙판길운전요령에 앞서 겨울철 운전전 가장 먼저 체크할 것은 출발전 차량 점검입니다.

차의 이상은 없는지 우선 외관을 확인하고 눈을 털어내고 평소 안전거리보다 1.5배이상의 앞차와의 간격을 두고 운전하며 브레이크 사용방법 등이 중요한데요.





겨울철 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엔진 냉각수가 얼지 않게 부동액을 점검하고 워셔액은 반드시 겨울철 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눈길 위에서 급하게 출발하면 바퀴가 헛돌며 미끄러질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부드럽게 출발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구동력이 작은 2단 기어를 이용하여 가속페달을 약하게 밟아주며 출발하는 것이 빙판길운전요령중 하나입니다.

 

 

눈길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평소 안전거리보다 1.5배 이상을 확보하여 운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좁은 골목길이나 응달진 부분, 터널 입구는 눈이 다시 얼어 빙판길이 될 확률이 크므로 그런곳은 무조건 서행하는 것이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는 빙판길안전요령이며 특히 교량의 경우에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언곳이 더 많을 수 있으므로 무조건 서행해야 합니다.

 

 

눈이 많이 쌓인 도로에서는 얖차의 바퀴자국을 따라가는 것이 눈속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눈길에서는 브레이크를 한번에 세게 밟으면 차가 그대로 미끄러져 큰사고가 날수 있으니 풋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 밟아야만 하고 달리면서 액셀레이터 페달을 놓아 엔지과 변속기로 작동되는 속력감속 브레이크를 이용하는것도 빙판길운전요령입니다.


 

빙판길에서 급제동, 급출발, 급가속등은 무조건 금지해야할 빙판길운전요령으로 이러한 습관은 눈길이 아닌 평상시에도 해서는 좋지 않은 운전습관입니다.

하지만 어쩔수 없는 상황에 미끄러져 이미 제동력을 잃은 상황이라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따라 돌리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차가 돈다고 이것을 멈추려고 핸들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오히려 바퀴가 잠기게 됩니다.

따라서 관성에 따라 도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야만 제동력을 찾을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겨울에는 자동차를 운행하지 않을 때 와이퍼를 직각으로 세워 두는

것이 와이퍼가 얼어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것을 예방할수 있습니다.

또한 눈길이나 언덕길에 차를 주차할 경우 차량이 미끄러질까봐 걱정이 된다면 사이드를 채우고 핸들을 한쪽으로 꺽어 두는 것이 안전하지만 겨울철에는 사이드가 얼을 수도 있기때문에 이런일을 대비해서 수동기어는 1단이나 후진으로, 자동기어는 'P'에 위치시켜 주차시키는 것도 추운겨울철 안전운전 요령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빙판길안전요령, 눈길 안전운전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Posted by
,